본문 바로가기
공부

[CPA공부 2일차]위더스 김기동 회계원리 제2장 정리 : 기업거래의 측정과 기록

by hotcoding 2022. 12. 26.
반응형

제2장 기업거래의 측정과 기록

제1절 복식부기의 원리

재무회계의 주요 분석대상은 기업(corporation)이다. 재무회계를 기업회계(corporate accounting)라 부르는 이유.
기업의 모든 활동 中
1st : Input   2nd : Process
(우리가 공부할 거)
  3rd : Output
회계적 거래 복식부기기입방법
or
단식장부기입방법
(단식은 안 배움)
재무상태표 :
포괄손익계산서  :
자산 = 부채 + 자본
순수익 = 수익 - 비용
    결과 원인

1. 회계상 거래의 구분

기업 활동의 결과 발생하는 많은 사건들이 재무제표에 반영되어야 할 경제적 사건인지 아닌지를 판단

 

2. 회계상 거래의 기록방법

회계상의 거래를 기록하는 방법으로는 단식부기법과 복식부기법의 두 가지 방법이 있음.(단식부기 생략)

복식부기(double-entry bookkeeping)는 기업의 거래에서 이용하는 장부기입법으로 기업의 재산상태에 영향을 주는 사건을 이중으로 분석하여 재산의 변동결과와 이에 대한 변동원인을 동시에 기록하는 부기법임.

 

3. 복식부기의 개념

자산(asset)은 기업이 통제하고 있는 자원, 부채(liability)는 기업이 부담하고 있는 빚.

 

  (1) 자산과 부채, 자본의 정의

자산(asset)은 과거사건의 결과로 기업이 현재 통제하고 있고, 미래경제적효익이 기업에 유입될 것으로 기대되는 자원.

부채(liability)는 과거 사건에 의하여 발생하였으며, 기업이 현재 부담하고 있는 미래경제적효익이 내재된 자원이 기업으로부터 유출됨으로써 이행될 것으로 기대되는 의무

자본(equity)은 기업의 자산에서 모든 부채를 차감한 잔여지분.

 

  (2) 복식부기의 회계등식

회계등식(accounting equation)이 다음과 같이 만들어 진다.

 

  (4) 회계등식을 이용한 거래의 기록 : 납입자본과 손식자본으로 분할

자산 = 부채 + 자본(equity) --- 납입자본(capital) -> 자본금(capital stock)
                                           ㄴ 손식자본(income) -> 이익잉여금(retained earning)

주주가 납입한 자본을 자본금(capital stock)이라 하며, 경영성과로 증가한 손익자본을 이익잉여금(retained earning)이라 한다.

 

  (5) 회계등식을 이용한 거래의 기록 : 수익과 비용으로의 분할

하지만 손익자본인 이익잉여금을 하나의 항목으로 기록하는 것보다는 다시 수익항목과 비용항목으로 각각 구분해서 기록한다면, 정보가 더욱 유용해질 수 있다.

수익(revenue)은 재화를 판매하거나 용역을 제공하면서 발생한 이익잉여금의 증가금액.

비용(expense)은 수익을 창출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이익잉여금의 감소금액

보고기간 말의 재무상태를 표시하는 경우에는 수익과 비용을 다시 이익잉여금 항목으로 대체해야 한다.

 

제2절 재무상태 및 경영성과의 측정과 보고

  (1) 재무상태 및 경영성과의 측정과 보고 : 1년차도

재무상태(financial position=B/S)는 특정 시점에서 기업의 자산, 부채 및 자본의 현황.

재무상태는 특정 시점에서 기업의 재무구조상태를 보여주는 것으로 재무제표 중 재무상태표(statement of financial position)를 통해 정보이용자에게 제공된다. 경영성과(financial performance)는 일정기간  동안 발생한 자본의 변동 중 수익과 비용의 가감액을 말하는 것으로, 수익에서 비용을 차감한 순금액을 당기순이익(net income)이라 한다.

경영성과는 포괄손익계산서(comprehensive income statemnet)를 통해서 정보이용자에게 제공된다.

 

※ 용어정리

재무상태표(Statement of Financial position) = (F/S) = (B/S) = (Balance Sheet)

포괄손익계산서(comprehensive Income Statemnet) =(I/S)

 

위의 회계등식에서 자본항목 중 비용의 경우 자본의 감소를 우변이 아니라 편의상 좌변에 위치시키면 아래와 같이 다시 표시할 수 있다.

 

일련의 복식부기 회계기록에 오류가 없음을 판단할 수 있다. 위의 양식을 회계에서는 시산표(trial balance)라 한다. 복식부기에서 회계등식에 따른 장부기록의 오류를 검증하고, 결산재무제표의 작성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수학적 검산표이다.

 

  (2) 주주에 대한 배당금의 지급

회계적으로 주주에게 자금제공에 대한 대가로 배당을 지급하는 것은 비용으로 인식하지 않고, 이익잉여금의 처분으로 인식한다.

 

  (3) 재무상태 및 경영성과의 측정과 보고 : 2차년도

20X2년에 추가적으로 다음과 같은 거래가 발생한 경우 2차년도의 재무상태 및 경영성과의 측정과 보고에 대하여 알아보자.

 

제3절 개정과 분개

  (1) 계정의 의의

계정(account)은 기업회계에 있어서 기업 자산, 부채, 자본, 수익과 비용의 모든 변동을 기록·계산 및 분류하기 위한 기술적 단위이며, 이러한 계정의 명칭을 계정과목(title of account)이라 한다.

상품 : 판매를 위하여 구입한 물품(재고자산)

제품 : 판매를 위하여 제조한 물품(재고자산)

비품 : 사용을 위하여 구입한 물품

소모품 : 소모를 위하여 구입한 물품

  신용거래 Example
매출거래 : 매출채권 <======> 매입채무 =판매로 생김
매출외거래 : 미수금 <======> 미지급금 =비품 팔아서
금전거래 : 대여금 <======> 차입급  

 

  (3) 분개와 계정별원장

거래를 분석하고 이를 이용하여 시산표를 작성하는 과정 사이에 일정한 회계적 통제절차가 필요하다.

  -1. 분개 (= 코딩)

분개(journalizing)는 기업에서 발생하는 추상적 거래상황에 계정과목과 금액을 부여하여 구체적인 회계언어로 변환(translation)해주는 과정이다.

  • 이 거래를 계정에 기입하기 전에 복식부기의 논리에 따라 차변요소와 대변요소를 구분
  • 차변과 대변에 기입할 금액을 결정하는 일련의 과정을 분개
  • 분개의 내용을 순서대로 가록하는 장부를 분개장(book of journal entries)

- 부식 부기의 패턴

 

  -2. 계정별원장

계정별 부분완성품을 계정별원장(general ledger)이라 한다.

계정별원장은 분개장의 원시기록으로부터 시산표라는 최종결론을 수월하게 도출하기 위한 중간 통제절차에 만들어지는 회계장부이다. 분개장의 기록을 계정별원장에 다시 기록하는 회계범위를 전기(posting)라 한다.

 

보론) 시산표

시산표(trial balance)는 회계기간 말에 계정별 원장에서 관리되고 있는 계정별 잔액을 합산한 후 회계등식에 따른 장부기록의 오류를 검증하고, 결산재무제표의 작성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수학적 검산표이다.

  (1) 잔액시산펴

잔액시산표는 회계기간 말 계정별원장의 잔액만을 집계하여 작성하는 시산표이다.

반응형

댓글